환 영 사
안전문화란 안전제일의 가치관이
개인 또는 조직구성원 각자에 충만 되어
개인의 생활이나 조직의 활동 속에서
의식, 관행이 안전으로 체질화된 상태로서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구체적 실현을 위한
모든 행동양식이나 사고방식, 태도 등
총체적인 의미를 자칭하고 있습니다.
종래의 안전문화는 조직과 개인의 자세와
품성이 결집된 것으로 모든 개인의 헌신과
책임이 요구되는 것으로 정의되어 왔습니다.
이제 4차 산업혁명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의 새로운 안전문화 개념은
안전을 실천하는 의식,
안전을 유도하는 제도,
안전을 가능하게 하는 인프라가
결합해 만들어 내는
사회적 문화적 산물이어야 합니다.
안전의식(교육·홍보·자료),
안전제도(법규),
안전인프라(시설·네트워크)가
함께 발전해 나가는
선진화 활동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노력은 인간 생명에 대한 존중이나
인간의 존엄성 증진이라는
인류의 보편적 가치 구현이라는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를 보다 사랑과 희망이
가득하게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우리 지역의 공동체를
보다 풍요롭고 아름답게 만들어주는
원동력이 될 것입니다.
이러한 노력이
다름 아닌 시민 사회의 자발적 의사에
기초하여 구현된다면
우리 사회는 더욱 더 밝고
아름다운 사회가 되리라 확신합니다.
안전문화교육원의 봉사활동,
후원활동, 교육활동이
우리 사회의 공동체 문화를 유지하고
발전시키는 길이 된다면
실천하는데 주저해서는 안 될 것입니다.
모든 사람이
함께 행복하게 살아가는 사회를
만들고자 하는 노력과 헌신이
사단법인 안전문화교육원의 설립의지입니다.
'안심(安心)', '생동(生動)', '소통(疏通)' 등
3대 가치를 바탕으로
재난재해안전분야
(자연재난,사회재난,의료재난),
환경안전보건문화분야,
학교안전문화분야
(인권안전,폭력안전,중독안전,생활안전,등하교안전,응급조치 등),
생활안전문화분야(직업안전, 가정안전, 교통안전, 공공안전) 등
안전문화 7대 분야에서
안전문화교육을
성실하게 실천해 나가겠습니다.
안전문화교육원의 봉사,
후원, 교육활동은
인류의 보편적 가치인
인간존엄성을 구현하여
우리 지역의 공동체를
보다 풍요롭고 아름답게 만들어주는
원동력이 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안전문화란 안전제일의 가치관이 개인 또는 조직구성원 각자에 충만 되어 개인의 생활이나 조직의 활동 속에서
의식, 관행이 안전으로 체질화된 상태로서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구체적 실현을 위한 모든 행동양식이나 사고방식, 태도 등 총체적인 의미를 자칭하고 있습니다.
종래의 안전문화는 조직과 개인의 자세와 품성이 결집된 것으로 모든 개인의 헌신과 책임이 요구되는 것으로 정의되어 왔습니다.
이제 4차 산업혁명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의 새로운 안전문화 개념은 안전을 실천하는 의식,
안전을 유도하는 제도, 안전을 가능하게 하는 인프라가 결합해 만들어 내는 사회적 문화적 산물이어야 합니다.
안전의식(교육·홍보·자료), 안전제도(법규), 안전인프라(시설·네트워크)가 함께 발전해 나가는 선진화 활동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노력은 인간 생명에 대한 존중이나 인간의 존엄성 증진이라는 인류의 보편적 가치 구현이라는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를 보다 사랑과 희망이 가득하게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우리 지역의 공동체를 보다 풍요롭고 아름답게 만들어주는 원동력이 될 것입니다.
이러한 노력이 다름 아닌 시민 사회의 자발적 의사에 기초하여 구현된다면 우리 사회는 더욱 더 밝고 아름다운 사회가 되리라 확신합니다.
안전문화교육원의 봉사활동, 후원활동, 교육활동이 우리 사회의 공동체 문화를 유지하고 발전시키는 길이 된다면 실천하는데 주저해서는 안 될 것입니다.
모든 사람이 함께 행복하게 살아가는 사회를 만들고자 하는 노력과 헌신이 사단법인 안전문화교육원의 설립의지입니다.
'안심(安心)', '생동(生動)', '소통(疏通)' 등 3대 가치를 바탕으로 재난재해안전분야(자연재난,사회재난,의료재난), 환경안전보건문화분야,
학교안전문화분야(인권안전,폭력안전,중독안전,생활안전,등하교안전,응급조치 등), 생활안전문화분야(직업안전, 가정안전, 교통안전, 공공안전) 등
안전문화 7대 분야에서 안전문화교육을 성실하게 실천해 나가겠습니다.
안전문화교육원의 봉사, 후원, 교육활동은 인류의 보편적 가치인 인간존엄성을 구현하여
우리 지역의 공동체를 보다 풍요롭고 아름답게 만들어주는 원동력이 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사단법인 안전문화교육원 이사장
□ 경력 :
사단법인 안전문화교육원(전 충북학교안전교육원) 이사장(원장)
기후위기대응 탄소중립 환경교육연구회 대표
한국재난관리학회 이사
청주시탄소중립지원센터 기획조정실장
충북대학교 국가위기관리연구소 교육팀장
재해구호협회 재난안전연구소 재난구호분과 연구위원
충북연구원 재난안전센터 재난안전문화연구위원
충북대학교 재난전문인력 양성사업 연구원
행정안전부 안전교육전문가, 충청북도 안전교육전문가
충청북도교육청 교육안전관리위원
충북 국토균형발전 및 지방분권 위원
청주교육청 학교폭력심의 전문가 위원, 청주시 치안협의회 위원
한국인지학습치료/재활학회 전문강사
갈등조정 전문 컨설턴트, 그린리더
□ 수상 :
충청북도지사표창(2022)
희망브리지 전국재해구호협회장표창(2022)
경찰청장 표창(2021)
대통령 표창(2020)
충청북도교육감표창(2020)
청주시상당경찰서장감사장(2020)
행정안전부장관표창(2019)
도로교통공단이사장표창(2019)
국토교통부장관표창(2018)
교육부장관상(2018)
충청북도교육감표창(2018)
충청북도경찰청장감사장(2018)
한국교통안전공단이사표창(2018)
한국교통안전공단이사표창(2017)
청주시상당경찰서장감사장(2017) 외 다수
사단법인 안전문화교육원이 걸어온 길
06. 30.ㅣ
사단법인 안전문화교육원 공익법인 지정
기획재정부장관이 지정고시하는 공익법인 지정
01. 13.ㅣ
사단법인 안전문화교육원 비영리민간단체등록
11. 10.ㅣ
사단법인 안전문화교육원 비영리법인 및 국가기관 등 설립
11. 08. ㅣ
사단법인 안전문화교육원 법인설립 등기
10. 21. ㅣ
사단법인 안전문화교육원 설립(구 충북학교안전교육원)
08. 06. ㅣ
충북학교안전교육원 비영리법인 설립
08. ㅣ
'충북학교안전교육원'으로 명칭 변경
안전교육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콘텐츠 연구개발 확대
05. ㅣ
행정안전부 6대 안전교육으로 확대
전국민을 대상으로 6개 생애주기별(영유아기/아동기/청소년기/청년기/성인기/노년기 ),
6대 안전분야(생활안전/교통안전/자연재난 안전/사회기반체계 안전/범죄 안전/보건안전)에 대한
안전교육을 위해 필요한 콘텐츠를 제공하고, 안전교육 전문인력을 확보, 국내 최고의 안전교육을 제공하며,
안전교육의 정보통합, 연구를 지속적 개선, 발전.
03. ㅣ
범죄안전(폭력안전)교육,
교통안전교육으로 확대
어린이, 어르신들의 교통안전을 위한 연구회 설립. 지자체 교통안전을 위한 활동에 참여.
12. ㅣ
충북학교안전교육연구회 창단
한국인지학습치료학회 와 폭력을 예방하기 위한 공동연구회. 학교폭력, 아동폭력, 가정폭력,
성폭력 예방을 위한 안전교육.
12. 08. ㅣ
충북학교안전교육원 설립
학교폭력예방 연구회 창단
학교안전교육 강사양성 (연 50시간 이상 보수교육)
사단법인 안전문화교육원 주소
본부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문의시내로 23 (우편번호 28471)
Tel. 010 - 5447 - 1197 | sceducenter@naver.com
운영지원센터: 충북 청주시 층덕구 흥덕로 159, 2층 (우편번호 28468)
교육관: 충북 청주시 흥덕구 직지대로 729 (우편번호 28471)
ⓒ 2021 all rights reserved
Tel : 010-5447-1197 | FAX : 050-4496-1197 | e-mail : sceducenter@naver.com
본부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문의시내로 23 | 연구소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충대로 1, 충북대학교 자연대학 4호관 214호 | 교육관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직지대로 729
고유번호 : 349-82-00406 ㅣ 개인정보 책임자 : 한승우